본문 바로가기

한국지리답사/경북

왕피천 구하도(성산동 구하도)

왕피천 구하도 360VR 보기(사진클릭)

202311월 어느날, 대한민국 최고의 지리 브레인 박선생님의 연락을 받았다. 병아리 지리교사모임 지오피(GEOPIE)의 정기답사에 초대한다는 내용이었다. 퇴직 백수인 나는 어떨떨하고 부담스럽기는 했지만, 고맙고 기쁜 마음이 더 컸다. 강릉으로 달려갔다. 젊은 교사들의 열정 답사를 보며 많은 것을 느끼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6개월이 지났다. 보내온 지오피 정기답사 사진집을 보면서 한 꼭지라도 자료를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관련 논문(2011, 2012, 이광률)을 찾아 읽고 정리해 보았다.

성산동 구하도 지형도(2021년)



구하도가 무엇인가요?
과거에는 하천에 물이 흘렀으나 하천의 물길이 변경되면서 현재는 거의 물이 흐르지 않는 하천을 구하도라 말한다.

우리나라(남한)에는 구하도가 몇 개나 있나요?
조사(2011, 이광률)에 의하면 총 409개의 구하도가 있으며, 자연적인 구하도로는 감입곡류 목 절단, 하천쟁탈, 분류에 의한 것, 인위적인 구하도로는 감입곡류 하천의 인위적인 절단, 자유곡류 하도의 직강화, 분류 하도의 직강화에 의한 것, 6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고 한다.

가장 많은 유형의 구하도는 감입곡류 목 절단 구하도 유형이다(409개 중에서 65%266). 낙동강 본류의 상류, 남한강의 지류인 달천, 평창강, 낙동강 지류인 반변천, 북한강의 지류인 소양강, 동해안의 왕피천에서 분포 빈도가 높다.

구하도 연구를 왜 하나요?
구하도는 과거에 존재했던 하천의 흔적이며, 하천 지형의 유물이자 자연 유산이다. 구하도는 하천의 유로 변화 과정과 유로 변화에 영향을 미친 자연 및 인문 환경 요인 등의 정보를 제공해 준다. 또한 대부분 습지를 이루고 있어 생태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장소로, 보존의 중요성이 높은 공간이기도 하다. 자연적인 구하도인 성산 구하도는 동해사면의 요곡 융기를 형성 요인으로 보고 있어 한반도의 지질 시대 환경을 알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된다.

출처 : 2012 이광률



왕피천에 있는 성산동 구하도
울진군 성산동 구하도는25~ 26천 년 전에 왕피천의 감입곡류 목이 절단되면서 섬처럼 매안더 핵이 생기고 하천의 유수가 흐르지 않아 곡류하던 부분은 하천의 흔적으로 남게 되었다. 감입곡류 목 절단 구하도는 활발한 측방침식에 의해 목 절단이 발생하기 좋은 간빙기 또는 아간빙기의 후반에 주로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성산동 구하도 주변 지질도


왕피천은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과 울진군 온정면에 걸쳐 있는 금장산(849m)에서 발원하여 감입곡류 하곡을 형성하며, 북동류하여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에서 동해에 유입된다. 성산동 구하도 일대는 선캄브리아기 지층이 주로 분포하고 있다. 구하도의 곡류핵을 포함한 북부와 서부 일대는 선캄브리아기 화강편마암이 분포하며, 구하도의 남동부에는 선캄브리아기 원남통의 석회암이 분포한다.

현재 성산동 구하도의 대부분 지역은 논농사가 이루어지는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구하도 내 상류부에는 습지를 저수지로 개조한 성산지가 위치한다.

왕피천은 성산동 부근에서 과거 동쪽으로 크게 곡류하여 흘렀으나, 감입곡류 목 절단이 발생하면서 과거에 동쪽으로 곡류하던 부분이 구하도로 남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성산동 구하도는 곡류 절단부인 서쪽이 열려 있는 U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성산동 구하도는 상류부인 남서쪽 부근이 해발고도 약 47m이고, 하류부인 북서쪽 부근은 해발고도 약 33m 정도이다. 곡류 절단부 하상의 해발고도는 약 32m로서, 구하도 내 가장 높은 지점과의 하상비고는 약 15m이다. 구하도의 길이는 약 3.11km, 면적은 약 0.535로서, 구하도의 평균 폭은 약 170m이다.

형성시기와 형성과정은?
성산동 구하도의 OSL 연대 측정 결과는 26±2(28±2)ka로 나타났다. 연대 측정 결과로 판단할 때, 왕피천은 성산동의 현재 곡류 목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침식기준면은 안정된 상태에서 유량이 풍부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난 최종빙기의 아간빙기(55~25천 년 전) 동안 활발한 측방침식을 진행하면서 곡류 목의 폭을 좁혀 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25~26천 년 전에 곡류 목에서 곡류절단이 발생하였고, 이후, 동쪽으로 크게 곡류하던 유로는 현재와 같이 구하도로 변화되었을 것이다.(ka 1000)

성산동 구하도 형성과정


<구하도 유형>

곡류 목 절단에 의한 구하도 형성과정
분류에 의한 구하도 형성과정
하천쟁탈에 의한 구하도 형성과정
하도 직강화에 의한 구하도 형성과정

 

우리나라의 유형별 구하도 분포






<참고논문>
이광률, “우리나라 구하도 유형과 분포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제46권 제3(2011) 304~318
이광률, “우리나라 자연 구하도의 유형별 형성시기와 형성과정”, 한국지형학회지 19권 제2(2012) 1~15

 

*왕피천에는 봇도랑(관개수로: 농경지에 물을 끌어들이는 인공수로)이 하천 양안에 설치되어 있다. 한쪽은 현재도 사용중이며, 다른 한쪽은 왕피천 둘레길 '은어길'로 개발되어있다. 

 

*성산성지 : 마을 이름이 내성산동, 외성산동이다. 이 곳에 내성과 외성을 갖춘 성이 있었다고 한다. 발굴조사에 의하면 성의 잔존 상태가 극히 미흡하여 축조 상태·구조·시기 등을 가늠하기는 어렵다고 한다. 외성산동 앞 들에는 배잠사지 당간지주가 남아있다. 현지 사람들은 구하도의 들을 뱃들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E-Book으로 보기

'한국지리답사 > 경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남산  (0) 2021.12.01
경북 예천 회룡포  (0) 2014.10.18
안동 하회마을  (0) 2014.10.12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0) 2014.07.24
울릉도 알봉분지 나리동 투막집(우데기)  (0) 2013.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