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7) 썸네일형 리스트형 고창읍성 360VR 답사 ▲ 전북 고창읍성 (2003년 ~ 2018년 촬영) 고창읍성은 일명 모양성이라고도 부르며 고창군 남쪽 장대봉(108m)에 좌청룡 우백호의 지세를 최대로 이용하여 축조한 조선시대 성곽이다. 외면만 돌을 쌓고 안쪽은 흙과 잡석으로 다져져 있다. 동, 서, 북의 3문과 치 6곳, 수구문 2곳, 옹성 등이 있다. 전라도 서해안 일대를 지키는 전초 기지로서 축성되어 전라도 내륙을 왜구의 노략질로부터 지켜왔다. * 모양성(牟陽城): 고창 지역이 백제 때 모량부리(牟良夫里)로 불리던 것에서 유래한다. 북문(공북루)은 2층처럼 생긴 누정집(누각과 정자, 사방을 볼 수 있도록 다락식으로 마루바닥이 있음)이고, 아래층 문의 중앙에 문을 여닫을 수 있게 하는 장치 문장부와 문짝 둔테(구멍)이 있다. 서문(진서루)터는 197.. 충남 서천 장포리 독살 사진 클릭 360 vr 파노라마 (충남 태안 원청리, 서천 장포리) 충남 서천 장포리 석방렴(石防簾, 독살) ▲ 충남 서천 장포리(2006년 8월 2일 촬영)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해 물고기를 잡는 어업 방식으로 독살이라고도 한다. 독살은 ‘돌’의 사투리인 ‘독’과 사냥을 뜻하는 ‘살’의 합성어이다. 밀물에 휩쓸려 들어온 물고기가 썰물 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V자의 형태로 쌓은 돌담의 형태다. 독살의 가장 깊은 곳에 해당하는 V자의 꼭짓점 부근에는 바닷물이 잘 빠지도록 대나무로 발(배수구, 일명 이문통)을 설치하였다. 부락 맞은 편 나지막한 할미섬의 좌우에 두 개의 튼튼한 독살 잔돌이 지천으로 깔린 말랑말랑한 개흙 사이로 바닷길이 열렸다. 오른쪽 살은 200미터는 넘는 듯 했다. 높이는 0.7-1미터로.. 안텔로프 캐년 360 VR 파노라마 보기 사진 클릭마우스로 360도 상하좌우 돌려가며 보세요 ▲ 미국 서부 지형답사 - 안텔로프 캐년(2013. 1.19 촬영)미국 애리조나주 조그마한 도시 페이지(Page)에는 1963년 콜로라도 강을 막아 만든 글렌캐니언댐과 파월호가 있다.글렌댐 방문객 센터에서 댐과 다리를 볼 수 있다. 파월호에 잠겨있는 캐니언은 위로 붉은색 사암이 드러나 있고, 아래로 물에 잠겨 탄산칼슘이 침전된 하얀색의 사암이 보인다.댐에서 남쪽으로 4km 방향에 페이지가 있다.앤텔로프 캐니언은 개인 투어가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투어 예약을 하고 나바호 투어 사무실이 있는 곳 까지 4km를 더 이동한다.사무실에서 투어 짚차로 모래를 날리며 앤텔로프 캐니언 입구까지 또 4km를 달린다.앤텔로프 캐니언(Ante.. 브라이스 캐년(Bryce Canyon) ▲ 브라이스 캐년(2013. 1.18 촬영) 이 지역은 해발 2000m가 넘는 고원지대로 가장 높은 곳은 2778m에 이른다. 후두(Hoodoo)라고 불리우는 기묘한 모양의 뾰족한 암석기둥을 보러 사람들이 방문한다. 후두를 사이로 걸을 수 있는 트레일코스도 있다. 여름엔 주차장과 트레일 코스에 관광객이 붐비지만, 겨울엔 폐쇄되는 코스도 있고 주차장도 한산하다. 4월부터 10월까지 운행하는 셔틀버스 이용하면 뷰포인트 간 이동이 쉽다. 공원 내 롯지를 이용하면 좋지만, 사전 예약을 서둘러야 한다. 브라이스 캐년은 어떻게 만들어진걸까? 브라이스 캐년과 후두의 형성과정은 3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1. 암석의 퇴적 2. 땅의 융기 3. 풍화와 침식 첫 단계 약 5천만 년 전 호수(클라론 호수)와 범람원이었던 이.. 미국 모뉴멘트 밸리 ▲ 석양의 모뉴멘트 밸리(2013. 1. 18 촬영) 이러한 바위 덩어리들은 거대한 퇴적암이 유수(흐르는 물)에 의한 침식을 받은 이후, 암석풍화(서릿발 작용)와 암석 낙하에 의해 계속 축소되면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립된 바위들을 '메사'라고 하며, 메사가 더 작아지면 작은 첨탑의 형태인 '뷰트'가 된다.메사와 뷰트의 모습이 마치 기념비가 서있는 것처럼 보여이곳의 이름이 '모뉴먼트 밸리'가 되었다.각 기념물들의 이름은 나바호 인디언 또는이 곳에 들어온 정착민들의 상상력에 의해 명명되었다. Mitchell & Merrick Butte: 은을 발견한 두 탐험가의 이름을 땃다.세 자매: 두 제자를 바라보는 가톨릭 수녀와 비슷.Yei'bi'chei: 나바호족의 영적 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 울릉도 알봉분지 나리동 투막집(우데기) 360 VR파노라마 보기 사진 클릭 ▲ 울릉도 알봉분지 투막집(2013. 1. 7 촬영) 몇 차례 울릉도를 갔었지만 겨울철 울릉도는 2013년 1월이 처음이다. 궂이 추운 겨울, 거센 바람을 맞으며 울릉도를 찾은 이유는 눈 때문이다. 정확히 말하면 지리수업시간 단골로 설명하는 우데기의 실상을 직접 체험해보기 위해서다. 울릉도를 가기위해 포항에 도착했지만, 울릉도 들어가는 배가 없다. 풍랑주의보로 인해 배가 묶여 포항에서 하루를 더 묵고, 다음 날 충분한 준비덕분에 배 멀미없이 울릉도에 도착했다. 며칠 전 울릉도에 눈이 왔다는 기상예보를 들었다. 그런데 도동 해안 쪽에서는 눈을 볼 수 없었다. 눈이 녹아 천부까지 버스가 다녔지만 나리분지 가는 버스는 없었다. 나리분지 가는 길은 눈이 많이 쌓여 차가 다닐 .. 성균관 ▲ 성균관(2012. 12.28 촬영) 조선시대에 서울에 설치한 유학교육기관. 오늘날의 국립대학에 해당한다. 전묘후학의 공간 배치를 하고 있다.(공자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이 앞쪽에, 강학 공간인 명륜당이 뒷편에 위치) 고려시대의 국자감(國子監), 신라시대의 국학(國學), 그리고 멀리는 고구려의 태학(太學)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우리 나라 최고학부의 명칭으로 ‘성균(成均)’이라는 말이 처음 사용된 것은 1298년(충렬왕 24)에 국학(국자감을 개칭한 것)을 성균감(成均監)이라 개칭한 데서 비롯된다. 그 뒤 1308년에 충선왕이 즉위하면서 성균감을 성균관이라 개칭하였다. 1395년(태조 4)부터 건축공사가 시작되어 3년 만에 대성전과 동무(東廡)·서무(西廡)의 문묘(文廟)를 비롯하여 명륜당(明倫堂).. 뉴질랜드 와이망구 화산지대 와이망구 계곡로터루아 남쪽 26Km 지점에 위치해 있다.1886년 6월 10일 타라웨라산의 분화 때 생성.와이망구 화산계곡은 1866년 타라웨라 화산의 분화 때 단층선이 함몰되면서 만들어졌다.로토마하나 호수도 이때 큰 호수가 되었다.계곡을 따라 분화구가 열을 지어 있고, 분화구의 뜨거운 물이 작은 하천을 이루어 로토마하나 호수로 흘러들어간다.짙은 초록이 눈을 의심케 하는 '에메랄드 풀',연못 위로 항상 수증기가 피어올라 달권진 프라이팬처럼 보이는 '팬 레이크',점토와 진흙으로 파묻힌 '매몰지층', 등을 지난 계곡 끝에 다다르면 물빛 푸른 로토마하나 호수,매표소에서 호수까지는 약 1시간 50분 정도의 트레킹 코스다.돌아오는 길은 버스를 셔틀버스를 이용하면 된다.버스 시간표와 계곡지도등은 매표소에서 나눠준.. 조광조 유배지 ▲ 전남 화순 능주, 정암 조선생 적려 유허 추모비(2012. 11.24 촬영) 적려(謫廬)란 귀양(유배)을 말하며, 유허비는 선현의 자취를 후세에 알리거나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를 말한다. 조광조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 1482~1519)는 김종직, 김굉필 이후 사림의 맥을 계승하였다. 1510년(중종 5년) 소과인 생원시에 입격한 후, 1515년 알성시 별시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을 시작으로 사간원 정언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그는 이상정치, 즉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실현해 보려 하였다. 도학정치란 공자와 맹자가 정립한 정치이며, 그 원류는 유학에서 이상시대로 알려진 요순시대의 정치를 말한다. 정치 개혁에 착수하여, 관리 선발제도인 현량과(賢良科)를 시행하고 성리학적 생활규범인 소학의 보급이나.. 경전선 ▲ 경전선(慶全線)(2012. 11. 24 촬영) 촬영위치 :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화림리 경상남도 밀양시 경부선의 삼랑진역과 광주광역시 호남선의 광주송정역을 잇는 철도로 총길이 300.6㎞이다. 경상도와 전라도를 연결한 철도라는 뜻에서 두 도의 첫 글자를 따서 경전선이라 하였다. 2000년 8월 10일 효천~광주송정 구간의 철도를 이설하여 서광주역이 새로 생기고 효천~남광주~광주 구간이 폐선되었으며, 2006년 11월 1일부터 광주반복 열차도 모두 폐지되었다. 2009년 기준 운행하는 역은 삼량진역에서 낙동강~한림정~진영~창원중앙~창원~마산~중리~산인~함안~군북~원북~평촌~진주수목원~반성~진성~갈촌~남문산~개양~진주~유수~완사~다솔사~북천~양보~횡천~하동~진상~옥곡~골약~광양~순천~원창~구룡~벌교~조.. 우리나라 표준 경선 동경 135도 ▲우리나라 표준경선과 중앙경선, 그리니치 천문대 360 VR 답사 사진 클릭 ▲ 일본 아카시대교(2007. 12.10 촬영) 전체 길이는 3911m, 중앙 지간의 길이는 1991m로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이다. 동경 135도는 일본 아카시대교 부근을 지난다. 아와지섬과 혼슈[本州] 사이의 아카시해협을 가로질러 효고현 고베시의 다루미구와 아와지섬의 아와지시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1988년 5월 1일 착공되어 10년의 공사기간을 거쳐 1998년 4월 5일 개통되었다. ▲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세계 여러 지역에서 시간 차이가 나타난다. 영국을 지나는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국가별 표준시를 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 교통의 발달로 국가간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지역마다 다른 표준시를 사용하는 것은 혼란과 불편함.. 전북 고창군 고수면 문수사 단풍나무 숲 ▲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 숲(2004 - 2012 촬영) 처음 문수사 단풍나무 숲을 보기위해 찾아간 것은 2004년 11월이었습니다. 그땐 단풍나무 숲만 이 곳을 지키고 있었지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기 전이었습니다. 이제 세상에 많이 알려진 탓에 많은 사람들이 찾고있습니다. 2004년도에는 36장을 촬영해서 하나의 vr파노라마를 만들었는데, 2012년도엔 4장 촬영하여 만들었습니다. 문수사의 단풍은 더욱 풍성해지고 이를 담는 카메라 기술도 많이 변했습니다. 일주문에 도착하면 일주문 옆에 고풍스러운 단풍나무가 반갑게 맞이합니다.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숲은 문수산 입구에서부터 중턱에 자리한 문수사 입구까지의 진입도로 약 80m 좌우측 일대에 수령 100년에서 400년으로 추정되는 단풍나무 500여그루가 자생하.. 경북 고령 대가야고분 경상북도 고령군에 있는 가야의 돌널무덤·돌덧널무덤·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사진은 2012년 11월에 촬영됨. 중국 투르판 고창고성 고창고성의 방형탑 (2012년 8월 5일 촬영) 중국 신장 웨이우얼자치구 투르판에서 동쪽으로 45km 떨어진 지점에 있다. 460년에 고창왕국이 건립되었으며 13세기 중엽 이후 텐산 북쪽의 몽골 유목귀족들이 반란을 일으켜 고창을 에워싸고 공격을 계속한지 반년이 지나 함락되었다고 한다. 원래는 사각형의 화려한 성곽도시였다고 하나 흙벽돌을 쌓아 만들었기 때문에 파손이 심해 지금은 궁전이나 사원 같은 큰 건물의 잔해만 있을 뿐 거의 페허가 된 도시유적이다. 딸랑딸랑 방울소리를 내는 당나귀를 타고 들어간다. 뜨거운 햇살때문에라도 당나귀 마차를 타야한다. 아니면 머리 벗겨진다. 대불사터에 도착하면 방형탑과 복발탑이 있다. 사각의 방형탑은 작은 감실들이 있는데 불상들은 대부분 없어지고, 벽화는 흔적만 남아있다. 복.. 충남 아산시 외암 민속마을 360 VR 파노라마 보기, 사진 클릭 2012년 10월 27일 촬영 외암마을은 국가 중요민속자료 제 236호로 지정된 마을자체가 문화유산이다. 아산시내에서 남측으로 약 8km 떨어진 설화산 동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조 선조때부터 예안이씨가 정착하면서 예안이씨 집성촌이 되었고, 그 후 예안 이씨 후손들이 번창하여 많은 인재를 배출하면서 양반촌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성리학의 대학자인 외암 이간선생이 마을에 살면서 더욱 널리 알려졌으며 그의 호인 외암도 마을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전해진다. 외암민속마을에는 충청지방 고유 격식을 갖춘 반가의 고택과 초가, 돌담, 정원이 옛모습 그대로 보존되고 있으며 다량의 민구와 민속품이 전해져 내려온다. 가옥 주인 관직명이나 출신지명을 따서 참판댁, 감찰댁, 풍덕.. 전북 진안 마이산 마이산 360 VR파노라마 위 사진을 클릭하세요 전북 진안 마이산 위 사진들은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촬영된 것이다.(파일이름의 숫자는 촬영 년월일) 2004년에 휴식년제 시작, 2014.10.11 14:00부터 한정된 인원에게 암마이봉(686m) 등산로 0.6㎞ 구간이 개방되었다. 자연훼손을 최소화하려고 1일 입장인원을 100명으로 제한하고 있다.(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개방) 마이산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중생대 백악기 한반도에는 큰 지각변동(대보조산운동, 불국사운동)이 있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부분의 산과 산맥들이 형성되었으며, 분지 지형(경상분지, 음성, 공주, 부여, 영동, 무주, 격포분지)이 여러 곳에 생겨났다(대략 1억 년 전후). 분지란 주위가 높은 지대로 둘러싸인 평지를..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