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지리답사

(79)
나제통문 [촬영일시 2006. 9. 23] 학창시절 논문 주제지역으로 생각한 적이 있는 곳이다. 나제통문을 지나 무풍에 들어섰을 때 완전히 다른 말씨에 당황했다. 이곳은 전라북도인데 경상도 말투를 쓰고 있었기 때문이다. 언어와 역사관련 문헌을 찾아 이것 저것 읽었던 기억이 있다. 언어와 생활풍속이 경상도에 가깝다. 역사적 기록을 보니 무풍현은 신라땅, 주계현은 백제땅. 신라 무열왕 6년, 백제 의자왕 19년(659년) 신라 김유신의 군사 1만명과 백제 좌평 의직의 3천명이 전투를 벌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 전투지역이 신라와 백제의 국경지역인 이 부근일까? ................ 삼국시대 나제통문, 일제가 만든 굴? 전북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에 위치한 무주구천동 33경 중 제 1경인 '나제통문(羅濟通門)'은..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360 VR파노라마 보기 사진클릭 ▲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제415호 신생대 제3기말(약 200만년 전) 주상 절리는 암괴나 지층에서 기둥 모양의 절리가 지표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말한다. 용암이 분출되어 굳어진 화산암지역에서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주상절리의 형성 메커니즘은 다음은 같다. 뜨거운 용암의 평탄면이 동시에 냉각될 경우, 수축은 그 표면에서 여러 방향으로 등질적으로 일어난다. 이 상태는 역학적으로는 마치 수축이 같은 간격으로 배열된 중심점을 향하여 일어나는 것과 똑같은 현상이다. 이같이 같은 간격으로 배열된 중심점을 향하여 수축이 일어날 때 각 중심점사이의 중앙부에서는 양쪽으로 직각 방향의 균열이 발생하며 그 균열은 상호교차하여 일반적으로 6각형 패턴을 이루어 주..
강원도 정선 병방치에서 바라본 귤암리 ▲ 병방치에서 바라본 귤암리(강원도 정선) 동강은 1865년 대원군(고종 2년)이 경복궁을 중수할 때 필요한 목재를 정선과 인재 등지에서 뗏목으로 엮어 조달하면서 외부에 알려지기 시작하여 뗏목꾼들 사이에서는 골안강으로 통했고, ‘떼돈 번다’는 말은 이 뗏목꾼들 사이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동강이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 때는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부터였지만, 당시에도 동강이란 이름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합니다. 1980년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하는 지도에 표기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전국적으로 동강이 알려지게 된 것은 1999년 동강댐 건설 논란이 일면서입니다. 동강이 흐르고 있는 지역은 석회암 지대, 과거에 바다였다는 것이죠. 석회암은 고생대 캄브리아기에서 오르도비스기 사이에 바..
전주오픈국제태권도대회 태권도 시범공연 360 VR파노라마 보기 사진클릭 ▲ 2013 전주오픈국제태권도대회(2013. 12.21 촬영) 평생을 태권도인으로 살아오신 아버지 이날 공로패를 받으셨습니다. 나의 어릴 때 꿈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크고 멋진 태권도장을 세워 그곳에서 제자를 가르치는 아버지의 모습을 보는 것이었습니다. 비록 꿈은 이루지 못했지만, 평생 태권도인으로 살아오신 아버님이 자랑스럽고 존경합니다. 2016년 7월 2일 전주 KBS '시사저널 날' 태권도 겨루기 뿌리를 찾아라 2005년 전북도청 신청사 개청기념 사진전 360VR 보기 (사진클릭) 아래 사진은 2017년 무주에서 열린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 태권도 원로로 초청되어 개회식에 참석하신 모습입니다.
추사 김정희 고택 ▲ 추사 김정희 고택(사랑채,안채) (2013. 10.12 촬영) 충남 예산군 신암면 추사 김정희(1786~1856년)가 태어난 집이다. 김정희의 증조할아버지 김한신이 지었다고 한다. 김한신은 영조의 부마(사위)로 화순옹주의 남편이다. 서쪽에는 안채가 있고 동쪽에는 사랑채가 있다. 안채는 6칸 대청, 2칸 안방, 건넌방, 부엌, 안문, 헛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채의 모양은 'ㅁ'자 모양이다. 사랑채는 'ㄱ'자 모양으로 남쪽을 향하고 있다. 남쪽에 1칸 온돌, 동쪽에 2칸 온돌, 대청과 마루가 있다. 계단식 돌 위에는 김정희의 석년(石年)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기둥의 그림자를 사용하여 하루 중 시간을 측정하였다고 한다. 안채와 사랑채의 기단은 기단의 긴 돌로 만들었다. 그 위에 모퉁이 돌을 깔았다. ..
전주 남부시장 청년몰 레알 뉴타운 ▲ 전주 남부시장 청년몰 레알타운(2013. 10.4 촬영) 전주 남부시장 2층 젊은 청년상인들이 함께 만드는 복합문화쇼핑공간 입니다. 남부시장 청년몰은 2012년 5월 12개의 가게 오픈을 시작으로 현재 17개의 가게가 성업 중에 있으며 청년창업가들이 ‘적당히 벌고 아주 잘살자’는 취지 아래 서로 협력하며 창업을 통한 시장 활성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청년몰은 기존의 상품을 사고 파는 쇼핑몰의 개념을 넘어서 전주 남부시장에서 청년들의 활력으로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이며 시장의 사회 문화적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들고자 합니다. 다양한 문화체험과 청년야시장들의 참여형 문화축제 등을 기획하며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는 문화 공간이며 새로운 상업모델의 실험터 입니다.
전북 고창 학원농장의 해바라기 ▲ 전북 고창 학원농장의 해바라기(2013.7.31 촬영) *경관농업? 농촌의 자연환경과 작물 재배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경관을 관광객들에게 제공하여 경제적 이득을 얻는 것이 경관 농업이다. 2004년에 처음으로 중소벤처기업부가 전북 고창군의 청보리밭을 경관농업특구로 지정하였다. 전국 최초로 경관농업특구로 지정된 고창의 학원농장은 약 100㏊의 청보리밭을 조성하여 2003년부터 청보리밭축제를 개최하는 등 경관농업의 성공사례이다. 또 평창 메밀꽃축제, 보성 녹차밭, 함평 자운영밭 등도 경관을 활용한 대표적 농촌관광 사례이다. 경관농업은 청보리, 메밀, 해바라기 등 같은 종류의 작물을 심어 도시민들에게 아름다운 경관과 쉼터를 제공한다. 농촌의 전통적인 농업 생산에서 벗어나 새로운 생활 공간, 생산 공간으로 변..
남해 가천 다랭이논 ▲ 경상남도 남해군 가천마을 다랭이논(2013. 6. 30 촬영) 다랭이논은 경사진 산비탈을 개간하여 층층이 만든 계단식 논을 말함. 다랭이논 전체 면적 22만7천554㎡ 중 실제 벼농사를 짓는 면적은 1만7천㎡(7.4%) 나머지 논 일부에 콩, 마늘,시금치 등 대체 작목을 심고 있지만 대다수는 휴경지다. 한 때 120가구, 700여 명의 주민, 현재(2012) 90여 가구, 200여 명으로 줄었다. 원주민은 60여 가구, 130여 명에 불과하다.나머지는 펜션을 지어 운영하는 외지인이다. 마을 내에 세워진 안내판에는 민박, 펜션 등을 알리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주민 70% 가량이 일흔살은 넘은 고령자들이다. 현재 벼농사를 하는 농가는 4가구뿐이다. 현재 마을에 남은 일소는 2마리가 전부다.소 1마리는 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