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지리답사/전북

(38)
전라감영 이야기 전라감영은 언제 설치되었을까? 올해(2022)로 전라도 이름이 지어진지 1004년이 된다. 전라도 지명은 고려 초 현종9년(1018)에 강남도(전주목 권역)와 해양도(나주목 권역)를 합쳐 전라도라 칭한 것이 처음이다. 전주에 처음부터 감영이 설치되었던 것은 아니고 임기 6개월의 안찰사(안렴사)가 순력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고려 말 창왕 원년(1388)에 도관찰출척사(감사)로 부임한 최유경(1343~1413)이 최초 전라감사이다. 안렴사와 관찰사제가 반복되다가 조선 초기 태종때 관찰사제가 정착하면서 감영이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 들어서면서 감사가 감영에 머물면서 다스리는 체제로 바뀌면서 감영 관아시설이 확대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순력: 관찰사가 자기 관할 내의 각 고을 민정을 시찰하기위..
이재 황윤석과 정철조, 정상기 이재 황윤석(頤齋 黃胤錫, 1729~1791), 2003년, 클럽활동(CA) 마을답사반을 꾸려 성내면(전북 고창군)에 있는 유물과 유적, 인물을 조사하고 답사하면서 처음 알게 된 인물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로 그가 남긴 일기 『이재난고(頤齋亂藁)』는 10세(1738) 때부터 쓰기 시작하여 세상을 떠나기 이틀 전까지 기록한 자료이다. 이 책은 18세기의 정치, 경제, 사회에서부터 수학, 과학, 천문, 지리, 어학, 역법 및 신문물인 서양과학에 이르기까지 여러 방면에서 당시의 사회의 생활상을 알아낼 수 있는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 성내면 조동리 조동마을에 황윤석 생가가 있다. 첫번째 방문 2003년 6월 5일 오후, 입구에는 전라북도 민속자료(제25호) 안내판이 있었고, 사랑채와 문간채 사이 대문은 잠겨 있..
전북 고창 병바위(호암) 병바위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 아산초등학교 뒤 높이 35m 바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호리병 또는 사람 얼굴로 보인다. 호리병 바위라는 뜻의 '호암'(壺巖)이라 불리었다. 병바위 전설 신선이 선운산의 아름다움에 반해 타고 온 배를 배맨바위에 매어놓고, 백마를 타고 선운산 일대를 둘러보다가, 이 곳에 살고있는 할머니의 술대접을 받고 크게 취해 잠들어 술병과 소반을 걷어차고 말았다. 술병은 거꾸로 땅에 꽂혀 병바위가 되었고, 뒤집힌 금소반은 소반바위가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온다. 병바위 주변의 바위나 마을의 이름에는 신선과 관련된 것이 많다. 신선이 말을 타고 내려와 술을 마시기 위해 안장을 얹어두고 탕건을 벗어 두었다는 안장 바위와 탕건 바위, 술에 취해 잠든 신선을 말이 울며 깨웠다는 마명 바위, 시끄러..
오수, 지명의 유래(주인의 목숨을 구한 의견) '오수(獒樹)'라는 땅이름의 유래 오수 지명은 이 지역의 의견 설화에서 유래하였다. 원래 리(里) 지명이었으나 지역주민들의 건의로 1992년 오수면(獒樹面)으로 바뀌게 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오수 의견 설화의 내용은 고려 시대 최자(崔滋)가 쓴 『보한집(補閑集)』과 조선시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전해진다. 김개인(金蓋仁)은 거령현(居寧縣, 임실군 지사면 영천리) 사람인데 집에서 기르는 개를 몹시 사랑하였다. 하루는 개인이 출행하는데 개가 따라 왔다. 개인이 술에 취하여 길가에서 잠이 들었는데 들불이 일어나 사방에서 타들어오니, 개가 가까이 있는 내에 뛰어들어가 몸에 물을 적셔 와서는 개인이 잠들고 있는 주위를 뒹굴어 풀에 물기를 뿌렸다. 이 행동을 반복하여서 불은 껐으나 개는 기진..
정읍 지명의 유래 정읍 지명 관련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삼국사기』에 남아있다. 현재 정읍에 해당하는 지역에 백제의 정촌현(井村縣 : 정읍현), 대시산군(大尸山郡 : 태인현),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 : 고부군)이 있었다고 기록되어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정읍현에는 【建置沿革】本百濟井村縣新羅景德王改今名爲太山郡領縣高麗屬古阜郡後置監務本朝改爲縣監 (백제 때 정촌현이었으며,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정읍현으로 고쳐 태산군의 영현이 되었으며, 고려에 들어서는 고부에 이속되었고, 뒤에 감무를 두었으며, 조선조에 현감을 두었다.)의 기록이 있다. 또한 【古跡】望夫石 在縣北十里縣人爲行商久不至其妻登山石以望之恐其夫夜行犯害托泥水之汚以作歌名其曲曰井邑世傳登岾望夫石足跡猶在 (망부석(望夫石)은 정읍현의 북쪽 10리에 있다. 현의 사람이..
하늘에서 본 전주 전주는 하늘에서 내려다 보면 산지와 구릉으로 둘러싸여 분지처럼 보이지만, 분지라기보다는 산간지대와 평야지대가 만나는 곡구에 해당합니다. 전주시 남동쪽은 약 300미터 높이의 승암산(306), 기린봉(271), 남고산(273) 등의 산지입니다. 그렇지만 북쪽은 건지산(106), 가련산(56) 등의 낮은 구릉이고 서쪽과 남쪽은 다가산(119), 완산칠봉(163) 등의 구릉이 나타납니다. 도시의 발달로 시의 영역이 확장되면서 북쪽은 평야지대와 접하고 서쪽은 홍산(216m), 천잠산(153m), 남쪽은 모악산(794m), 고덕산(603m), 동쪽은 묵방산(520m)이 전주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전주의 지형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지구 나이 약 46억 년, 한반도의 나이 약 30억 년, 전주 탄생의 비밀을..
벽골제 벽골제는 저수지다. 김제 벽골제는 한국 최고(最古)의 저수지와 그 제방으로 ‘삼국사기’에 의하면 330년(백제 비류왕 27)에 쌓았고, 790년(원성왕 6)에 증축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벽골제는 고려·조선시대를 지나며 보수·중수되어 왔다. 1925년 간선수로로 이용하기 위한 벽골제 일대의 공사에서 원형이 크게 손상되었다. 현재 벽골제는 사적 111호로 지정되어 있다. ※ 삼국사기에 벽골지(池), 저수지로 적고 있다. 삼국사기에는 흘해이사금 21년(백제 비류왕 27년, AD 330년) 벽골지(碧骨池) 시개(始開)... 시축연도와 규모를 밝히고 있다. 삼국사기에 명백하게 지(池), 저수지로 적고 있다. 삼국유사에는 ‘흘해 기축(329) 벽골제(碧骨堤) 시축(始築)... 제방의 길이, 벽골제의 수혜면적에..
전북 부안 채석강 360 VR 파노라마 보기, 사진 클릭 채석강의 '강'은 '강(江)'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채석강이라는 이름은 당나라 시인 이태백이 술에 취해 뱃놀이를 하던 중 강물에 뜬 달을 잡으려다 빠져 죽었다는 중국의 채석강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일 뿐이다. '강(岡)'자는 언덕이나 산등성이를 뜻하는 것으로 해변에 드러난 해안절벽을 일컫는 말이다. 중생대 백악기 말 호수에서 퇴적된 지층 채석강의 지질은 선캄브리아대에 형성된 화강암과 편마암이 기저층을 이루고, 그 위는 중생대 백악기 무렵에 형성된 퇴적암이 덮여있다. 이는 과거에 이 일대가 바다나 육지의 호수였음을 뜻한다. 약 70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 말의 대규모 지각 변동으로 저지대를 이루는 분지가 여러 곳에 생겨났고, 이곳으로 물이 흘러들어 거대..